료마가 간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료마가 간다》는 일본 작가 시바 료타로의 소설로, 사카모토 료마의 생애를 다루며 그의 성장, 활약, 암살 과정을 그린다. 이 소설은 료마를 혁신적인 영웅으로 묘사하여 오늘날까지 그의 이미지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출간 이후 큰 인기를 얻어 료마를 일본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역사적 인물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료마가 간다》는 여러 차례 드라마, 영화, 만화 등으로 각색되었으며, 1983년 소설 속 차별적 표현으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치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료마전
후쿠야마 마사하루 주연의 2010년 NHK 대하드라마 료마전은 미쓰비시 재벌 창업주 이와사키 야타로의 시점에서 사카모토 료마의 파란만장한 생애와 격동의 막말 시대를 그린 작품이다. - 고치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늦게 피는 해바라기
늦게 피는 해바라기는 2012년 후지 TV에서 방영된 일본 드라마로, 이쿠타 토마, 마키 요코 등이 출연하여 도쿄에서 시만토시로 내려온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Mr.Children의 〈상투구〉가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 고치현을 배경으로 한 소설 - 공명의 갈림길
시마 료타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공명의 갈림길》은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대를 배경으로 야마우치 가쓰토요와 그의 아내 치요의 일생을 그린 소설로, 역사적 사실에 소설적 허구가 가미되었으며 여러 차례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 고치현을 배경으로 한 소설 - 시코쿠 (소설)
시코쿠는 반도 마사코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딸을 되살리려는 어머니가 시코쿠 88개소 순례 의식을 통해 끔찍한 사건을 그리는 1999년 일본 영화이다. - 1965년 드라마 - 태합기 (1965년 드라마)
1965년 NHK에서 방영된 드라마 《태합기》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소설 《신초 태합기》를 원작으로, 센고쿠 시대에 미천한 어린 시절을 보낸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의 통치자가 되는 과정을 그린 시대극으로, 현대적 재해석과 신인 기용으로 차별화된 연출을 선보이며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 1965년 드라마 - 라 멘티라 (1965년 텔레노벨라)
1965년 멕시코에서 방영된 텔레노벨라 라 멘티라는 엔리케 리잘데, 파니 카노, 엔리케 로차, 알리시아 몬토야, 미겔 만자노, 아론 에르난 등이 출연했다.
료마가 간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제목 | 료마가 간다 |
원제 | 竜馬がゆく |
작가 | 시바 료타로 |
삽화가 | |
장르 | 시대소설 |
언어 | |
출판사 | 문예춘추 |
출판일 | 1963년-1966년 |
형태 | 양장본, 문고본, 전자책 |
웹사이트 | bunshun.jp |
ISBN | 978-4-16-710567-9 978-4-16-710568-6 978-4-16-710569-3 978-4-16-710570-9 978-4-16-710571-6 978-4-16-710572-3 978-4-16-710573-0 978-4-16-710574-7 |
ISBN | 978-4-00-024870-9 |
관련 작품 | |
드라마 | 1965년 드라마 1968년 드라마 |
2. 소설 줄거리
에도 막부 말기 일본을 이끈 사카모토 료마를 주인공으로 한 역사소설로, 시바 료타로의 대표작이다. 이 소설을 통해 료마는 일본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메이지 유신(명치유신)의 숨은 공로자로 인식되었다. 작가는 소설 속 료마를 표현하기 위해 이름 표기를 '竜馬'로 했다고 한다.[14]
소설은 료마가 도사 번을 떠나 에도(도쿄)로 검술 유학을 떠나는 장면에서 시작하며, 도사 번 상인 계급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료마의 어린 시절은 평범했다.
2. 1. 료마의 성장과 시대적 배경
사카모토 료마는 어린 시절 평범한 아이였지만, 도쿄로 상경하여 무사 수업을 받던 중 1853년 미국의 흑선 함대가 나타나 대포를 쏘는 사건을 경험한다.[14] 흑선의 압력으로 일본은 개국으로 방향을 틀었고, 많은 사람들이 에도 막부의 무능함에 실망하게 된다. 료마는 검술 스승을 만나 재능을 발견하고, 에도 유학을 통해 세상에 눈을 뜨게 된다.2. 2. 료마의 활약과 개혁 세력의 등장
료마는 가쓰 가이슈를 만나 서양 문물을 배우고, 해군 건설의 꿈을 키웠다. 가쓰 가이슈를 스승으로 모시며 시국관을 나누고 해군을 키우는 데 노력했다.[14] 료마를 따르던 도사번 사람 중에는 훗날 미쓰비시 그룹의 창립자인 이와사키 야타로도 있었다.반(反)막부 개혁파는 조슈번(현재 야마구치현)과 사쓰마번(현재 가고시마현)이 중심이었는데, 이들은 서로 주도권을 잡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서로를 믿지 못하고 싸우는 과오를 범했다. 특히 개혁파의 선도 세력 조슈번의 피해가 컸다. 이때 료마가 이들 세력을 중재했다. 아울러 눈치를 보던 도사번(현재 시코쿠의 고치현)까지 개혁파에 합류시킴으로써 메이지 유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4]
2. 3. 료마 암살과 메이지 유신
사카모토 료마는 1867년 교토에서 암살당했다. 그의 죽음은 많은 이들에게 큰 슬픔을 안겼지만, 그가 꿈꿨던 새로운 시대는 메이지 유신(명치유신)으로 이어졌다.[14] 비록 료마는 혁명의 완수를 보지 못하고 죽었지만, 료마를 중심으로 막부에 대항했던 개혁파 인물들 중 이토 히로부미, 무쓰 무네미쓰 등은 살아남아 메이지 유신 후 일본 개혁의 중심이 되었다.3. 주요 등장인물
소설에는 료마 외에도 수많은 실존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들의 관계와 갈등이 소설의 중요한 축을 이룬다.[14]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사카모토 료마(坂本竜馬)'''
- '''가쓰 가이슈(勝海舟)'''
- '''무쓰 요시노스케(陸奥陽之助)'''
- '''오료(楢崎龍)'''
- '''오토메(坂本乙女)'''
- '''오토세(お登勢)'''
- '''네마타리 토지베에(寝待ノ藤兵衛)''' : 전직 도적. 료마의 인품에 감복하여 그의 하인과 같은 존재가 된다. 특기를 살려 첩보 활동 등을 한다.
- '''오타즈루(お田鶴)''' : 도사번 가로(家老) 후쿠오카 가문(福岡家)의 딸. 산조 사네토미(三条実美)를 섬긴다. 신분의 차이를 넘어 료마를 사랑한다. 히라이 슈지로(平井収二郎)의 여동생이자 니시야마 시스미(西山志澄)의 아내가 된 히라이 카오(平井加尾)가 모델이라고 여겨진다.
- '''치바 사나코(千葉さな子)''' : 치바 쥬타로(千葉重太郎)의 여동생. 여성이지만 호쿠신 일도류(北辰一刀流) 면허개전(免許皆伝). 료마에게 고백하고, 난처해하는 료마의 애매한 대답을 승낙으로 받아들였다. 료마의 약혼녀로서 평생 독신을 지켰다.
- '''고토 쇼지로(後藤象二郎)'''
- '''무시 한페이타(武市半平太)''' : 도사번의 번사(藩士). 료마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향사(郷士)의 지도적 존재. 도사 근왕당(土佐勤王党)을 결성하지만 요시다 도요(吉田東洋) 암살, 번정 독점(藩政壟断)의 죄로 할복(切腹)한다.
- '''요시다 도요(吉田東洋)''' : 도사번의 전 참정(参政). 도사 근왕당(土佐勤王党) 당원에게 암살당한다.
3. 1. 사카모토 료마와 주변 인물
- '''사카모토 료마''': 도사번 출신의 낭인 지사. 가쓰 가이슈에게 배우고, 군함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어린아이 같은 모습이 남아있으면서도 종잡을 수 없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14]
- '''가쓰 가이슈''': 막부의 신하. 료마의 스승이다. 막부 출신으로는 드물게 개혁적이고 외국에 관심이 많았다. 해군에 큰 영향력을 가졌으며, 료마에게 큰 힘이 되어 주었다.[14]
- '''무쓰 무네미쓰''': 료마의 동료이자 오른팔. 기슈번 출신으로 해원대에 참가하였다. 훗날 메이지 유신 이후 외무대신이 된다.[14]
- '''오료''': 료마의 아내.[14] 료마가 보호해주어 데라다야에서 살게 된다.
- '''오토메''': 료마의 누나로, 료마에게 큰 영향을 준 인물이다.[14]
- '''오토세''': 료마가 자주 머물던 데라다야 여관의 주인이다.[14]
- '''이와사키 야타로''': 훗날 미쓰비시 그룹을 창립하는 인물. 도사번 출신으로 료마의 해원대를 도왔다.[14]
- '''고토 쇼지로''': 도사 번 무사. 야마우치 요도에게 대정봉환을 건의했다.
3. 2. 개혁 세력 (반 막부 세력)
사카모토 료마는 에도 막부에 대항하는 개혁 세력의 중심 인물이었다. 이들은 교토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많은 피를 흘렸다. 료마는 조슈 번(현재의 야마구치현)과 사쓰마 번(현재의 가고시마현)이 서로 주도권을 잡으려고 다투는 과정에서 불신이 깊어지자, 이들 세력을 중재하여 메이지 유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4] 특히 개혁파의 선도세력이었던 조슈 번의 피해가 컸다. 료마는 눈치를 보던 도사 번(현재 시코쿠의 고치현)까지 개혁파에 합류시켰다.4. 역사적 배경과 소설의 의미
시바 료타로의 대표작 《료마가 간다》는 에도 막부 말기 일본을 선도한 사카모토 료마를 주인공으로 한 역사소설이다. 이 소설은 당시까지 일본인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료마를 메이지 유신(명치유신)의 숨은 공로자로 재조명하여, 일본에서 료마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작가는 역사 속에 숨어있던 인물을 발굴하여 대중에게 널리 알린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4]
작품 안에서 료마(竜馬)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龍'라고 표기하지 않은 이유는 작가가 픽션으로서의 그를 썼기 때문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료마는 도사 번 상인 계급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에는 변변치 않은 아이였다. 그러나 도쿄로 상경하여 무사 수업을 받던 중, 1853년 미국의 군함 4척이 나타나 대포를 쏘는 사건(흑선 내항)을 경험한다.
이 작품에는 료마를 중심으로 막부에 대항하는 수많은 개혁파 인물들이 등장한다. 교토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싸움 과정에서 수많은 인물들이 피를 흘리며 죽어갔으며, 그중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인물들(이토 히로부미, 무쓰 무네미쓰 등)이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개혁의 중심이 된다. 료마는 1867년 교토에서 암살당하면서 혁명의 완수를 보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다.[14]
료마는 어리숙해 보이면서도 낙천적인 기질을 지녔으며, 무술 고수였다. 그는 도사 번에서도 이류 계급 출신이었고 개혁파의 선구자도 아니었지만, 전란을 통해 많은 뛰어난 인재들이 희생되면서 그의 역할이 서서히 중요해졌다. 료마는 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는 당시 우국지사들과는 달리 해군의 중요성과 무역에 관심을 가졌으며, 가쓰 가이슈를 스승으로 모시며 시국관을 나누고 해군을 키우는 데 노력했다. 료마를 따르던 도사 번의 인물 중에는 후에 미쓰비시 그룹의 창립자인 이와사키 야타로도 있었다.[14]
유신 후 조슈 번은 육군의 핵심 세력이 되고, 사쓰마 번은 해군의 핵심 세력이 되었다.
이 소설은 대하드라마나 각 민영방송국에서 수차례 드라마화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제국의 아침(료마가 간다 번역판)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최근에는 <료마가 간다 (전 10권)>(시바 료타로 지음, 이길진 옮김, 창해)로 출판되었다. 한국에서도 료마를 주인공으로 하는 일본 만화들도 번역 출판되고 있다.[14]
4. 1. 에도 막부 말기의 혼란과 개혁의 움직임
에도 막부 말기, 일본은 서구 열강의 압력과 내부적인 모순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1853년 미국의 군함 4척이 나타나 개항을 요구하는 사건(흑선 내항)은 이러한 혼란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 사건으로 일본은 개국으로 방향을 틀었고, 많은 사람들은 막부의 무능함에 실망하였다.[14] 이러한 상황에서 사카모토 료마와 같은 개혁 세력은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했다.4. 2. 삿초 동맹과 대정봉환
사카모토 료마는 막부에 대항하는 조슈 번(현재의 야마구치현)과 사쓰마 번(현재의 가고시마현)의 동맹(삿초 동맹)을 중재하였다. 이 두 번은 서로 주도권을 잡으려고 하는 과정에서 불화가 있었는데, 특히 개혁파의 선도세력 조슈 번의 피해가 컸다. 이때 료마가 이들 세력을 중재하였다.[14] 료마는 도사 번(현재 시코쿠의 고치현)까지 개혁파에 합류시켜 메이지 유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료마는 막부의 권력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대정봉환을 추진하여 메이지 유신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4. 3. 소설에 대한 비판적 시각
그러나 역사적으로 대단치 않은 인물 사카모토 료마를 지나치게 미화해서 그렸다는 평가도 있다.[14]5. 소설의 영향 및 평가
시바 료타로의 대표작인 이 소설은 사카모토 료마라는 인물을 일본 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14] 소설 속 료마의 이미지가 일본인들에게 깊이 각인되었으며, 작가는 역사 속에 숨겨진 인물을 발굴하여 대중에게 알린 사례로 평가받는다. 료마의 생일이 11월 15일로 널리 알려진 것도 이 소설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큰 비중이 없었던 료마를 지나치게 미화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4]
5. 1.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이 소설은 여러 차례 드라마와 영화, 만화 등으로 각색되었다.[14] 특히 1968년 NHK 대하드라마는 큰 인기를 얻었다. (료마가 간다 (1968년 드라마) 참조) 그 외에도 여러 방송사에서 드라마로 제작되었다.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비고 |
---|---|---|---|
1965년 | 마이니치 방송 | 료마가 간다 | 총 32회, 주인공: 나카노 세이야 |
1982년 | TV 도쿄 | 료마가 간다 | 12시간 초 와이드 드라마, 총 5화, 주인공: 요로즈야 긴노스케 |
1997년 | TBS | 료마가 간다 | TBS 대형 시대극 스페셜, 총 2부작 |
2004년 | TV 도쿄 | 료마가 간다 | 신춘(春) 와이드 시대극, 총 4부작 |
한국에서는 제국의 아침(료마가 간다 번역판)이라는 소설로 번역되었다. 최근에는 다시 <료마가 간다 (전 10권)>(시바 료타로 지음, 이길진 옮김, 창해)로 출판되었다. 한국에서도 료마를 주인공으로 하는 일본 만화들도 번역 출판 중이다.[14]
5. 2. 한국어 번역판 출간
한국에서는 제국의 아침(료마가 간다 번역판)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14] 1990년대 초, "제국의 아침"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번역본이 큰 인기를 얻었다. 최근에는 <료마가 간다> (전 10권) (시바 료타로 지음, 이길진 옮김, 창해)로 출판되었다.[14] 한국에서도 료마를 주인공으로 하는 일본 만화들도 번역 출판되고 있다.[14]5. 3. 소설 속 차별적 표현 논란 (초린보 사건)
1983년 9월, 교토신문 광고에 '초린보'(ちょうりんぼう, 부라쿠민에 대한 차별적 단어)라는 표현이 사용되어 부라쿠민 해방 동맹이 이에 대해 항의했다. 교토신문사는 『료마가 간다』에 사용된 말을 차용했다고 해명했고, 동맹은 시바 료타로를 규탄했다. 1983년 12월, 동맹은 교토 부라쿠민 해방 센터의 차별확립회의 자리에 시바를 불렀다. 이 자리에서 시바는 '''"죠리(長吏)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하여"'''라는 해명문을 낭독했다. 야유로 인해 떠들썩했던 회장은 시바의 부라쿠민 차별에 대한 비판과 명석한 문장을 듣고 조용해졌으며, 그 뒤 규탄은 사라지게 되었다. 시바는 집필 당시 "초린보"가 차별어라는 것을 몰랐고, 오래된 도사 지역 사투리로 '바보'를 의미하는 매도하는 단어의 한 종류라고 인식했었다고 해명했다. 또한 부라쿠민 해방 동맹으로부터 차별어라는 지적을 받은 후, 출판사에 바로 해당 부분의 소거를 요청했다고 한다.[15]참조
[1]
서적
「方言コスプレ」の時代 ニセ関西弁から龍馬語まで
岩波書店
[2]
잡지
司馬遼太郎が語る日本
週刊朝日
1996-11-20
[3]
서적
あじわい夕日新聞~夢をアリガトウ~
朝日新聞出版
2013
[4]
웹사이트
番組エピソード 大河ドラマ『竜馬がゆく』 -NHKアーカイブス
https://www2.nhk.or.[...]
[5]
문서
上記の本作DVD版が同シリーズ作品3作との同時発売となっていることにも拠る。
[6]
문서
一方、1995年までの「TBS大型時代劇スペシャル」シリーズは毎年オリジナル脚本作品・[[東映]]制作、また東映所属の[[日下部五朗]]が作品企画・制作を取り仕切ってきた(TBSからの招聘による)が、本作は原作付・テレパック制作で日下部も関わっておらず、制作体制面等で同シリーズと異なる点も多かった。
[7]
문서
主演:[[真田広之]]/オリジナル脚本作品/同シリーズ唯一の春改編期放送。
[8]
문서
既に触れたが、本作DVD版は『坂本龍馬』『源義経』『平清盛』との同時発売。
[9]
문서
番組枠としては、18:00〜22:54/294分。
[10]
뉴스
司馬遼太郎の歴史小説『竜馬がゆく』が初の漫画化! コミカライズを手掛けるのは『コウノドリ』の鈴ノ木ユウ。4月28日から連載スタート
https://www.famitsu.[...]
2022-04-02
[11]
뉴스
「コウノドリ」鈴ノ木ユウ、司馬遼太郎の「竜馬がゆく」を初のコミカライズ
https://natalie.mu/c[...]
2022-04-02
[12]
웹사이트
「週刊文春」に漫画「竜馬がゆく」の連載が復活!
https://prtimes.jp/m[...]
PR TIMES
2023-09-21
[13]
웹사이트
【新連載】「たった一人で天下を変貌させる」坂本竜馬、“日本を変えた”旅の始まりと終わり【平日毎日連載】
https://bunshun.jp/a[...]
文藝春秋社
2023-04-11
[14]
웹사이트
네이버캐스트 :: 세계인물
http://navercast.nav[...]
[15]
문서
[[막부]]시대 일본의 신분제도중에서 사농공상 이외의 직업을 뜻한다. 쵸린보의 어원이라는 설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